언문 2

훈민정음은 왜 실록에 11번밖에 등장하지 않을까?

조선왕조실록에서 ‘훈민정음’이라는 단어는 고작 11번만 등장합니다. 왜 이렇게 적을까요? 기록의 관점과 조선 사관들의 인식을 통해 그 이유를 살펴봅니다. 한글은 위대한 문자지만, 실록에선 너무 조용하다. 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직접 창제하고 백성을 위해 반포한 문자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10월 9일을 ‘한글날’로 지정할 만큼 그 역사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죠. 그런데 조선의 공식 기록인 『조선왕조실록』에서는 ‘훈민정음’이라는 단어가 단 11번밖에 등장하지 않습니다. 왜 이렇게 적게 기록된 걸까요? 그 이유는 단지 무관심이나 실수 때문이 아니라, 조선이라는 사회의 구조와 문자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결과였습니다. 1. 훈민정음은 ‘정통 문자’로 인정받지 못했다 조선은 한문 ..

사관의 메모 2025.04.23

1443년 (세종 25년) 12월 30일 - 훈민정음이 실록에 기록된 날

1443년 음력 12월 30일, 세종 25년의 마지막 날. 조선왕조실록에는 단 한 줄의 기록이 실립니다. 바로, 세종이 백성을 위한 새 문자 ‘훈민정음’을 완성했다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매일 쓰는 ‘한글’의 시작은, 이렇게 실록 속 조용한 한 문장으로 등장합니다. 🔹 오늘의 실록 한 줄📜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 28자를 지었다. 이를 훈민정음이라 일렀다.” 🔹 실록 기록 ✔️ 날짜: 세종 25년 12월 30일 (양력 1444년 1월 10일)✔️ 위치: 《세종실록》 제102권 🔹 실록에 언급된 훈민정음 창제 기록 원문 (현대어 해석)“ 이달에 임금이 직접언문(백성을 위한 글자) 28자를 지었는데, 이 글자는 옛날의 전자(篆字, 전서체 글자)를 본떠 만들었으며, 초성(初聲)·중성(中聲)·..

반응형